feigned innocence rather than negative, idle remarks rather than positive_black vinyl, dog toy, fishing rod, paste bait, mixed media_dimensions variable_2024
Bird Strike II_롤지에 스템핑, 파아프 봉, 사운드_150x1000cm_2024
Bird Strike II_stamp on rollpaper, sound_dimensions variable_2024
<김은숙 : 경기작가집중조명>
조은솔 (경기도미술관 학예사)
김은숙은 우리 사회에서 ‘소통’이 가지는 의미에 대해 질문을 던지는 작업으로 동시대 미술계의 주목을 받아왔다. 타국에서 이방인의 신분으로 미술을 배우고 작가 활동을 시작했던 그에게 소통은 매 순간 당면하는 과제나 다름없었다. 작업초기에 작가는 일상적으로 접할 수 있는 기호체계의 의미를 전복하거나 강조하면서 자본주의에 잠재한 모순을 드러냈다. 작가는 가장 기본적인 기호체계인 언어부터 광고, 행정서식과 같이 현대인에게 친숙한 이미지까지 일순 낯설게 만든다. 이 시기 일련의 작업은 작가가 우리 사회의 이율배반적 면모에 대해 관람객과 소통하는 방식으로 볼 수 있다.
2014년 작가의 관심사는 ‘불확실성’으로 옮겨갔다. 그 해는 작가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의 모든 이에게 버거운 해였다. 작가는 현대사회에 잠복한 재난과 위험의 징후를 은유적인 기호로 상징화한 <부정이 아닌 시치미, 긍정이 아닌 너스레>(2014)를 선보였고, 이 작업은 작가에게 일종의 전환점이 되었다. 이후 작가가 ‘신호’에 천착하며 작품 세계를 확장한 이유 또한 불확실성이 지배하는 시대 속 궁극적인 소통의 의미를 곱새기기 위함일 것이다. 이는 신호가 쌍방향의 합의와 소통을 전제로 하는 기호체계인 데에 기인한다.
최근 김은숙은 선박 간 깃발로 소통하는 ‘국제해군기류’를 채택하여 작업을 심화하고 있다. 국제해군기류는 알파벳 26개에 해당하는 문자기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깃발은 해상에서 일어날 수 있는 상황을 함축하여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작가는 이러한 국제해군기류를 문자체계로 삼아 경구나 격언을 다시 이미지로 만드는 작업을 이어가고 있다. 그동안의 미학적 고민을 바탕으로 독자적인 신호를 구축한 셈이다. 그가 채택한 경구들 살펴보면, 제니홀저(Jenny Holzer, 1950~)의 상징적인 텍스트 작업에서부터 어떤 것은 성경의 한 구절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이 경구들은 어찌보면 당연하게 느껴지지만, 불확실한 시대를 사는 우리가 망각하거나 외면한 것들이다. 작가는 여전히 유효한 이 명제들을 컬러플한 이미지로 탈바꿈하여 우리에게 신호한다. 곳곳에 흩뿌려진 작가의 신호에 관람객이 응답하며 전시장은 소통의 장으로 확장될 것이다.
<부정이 아닌 시치미, 긍정이 아닌 너스레>, <Bird Strike II 버드 스트라이크 II>
급격한 과학기술의 발전은 전 세계적으로 전에 없던 불확실성을 초래하였다. 이러한 현대사회의 위험은 아직 이어나지 않았지만, 성큼 다가오는 파국과 같다. 작가가 2014년 처음선보였던 <부정이 아닌 시치미, 긍정이 아닌 너스레>는 불행히도 끝이 아니었다. 현재 진행 중이다. 이때 전시장을 둘러싼 빌보드 위에 새겼던 우리나의에 대형사고가 일어났던 연도와 일자는 그 몸집을 한껏 불려 그 너머 자리한 검은 독수리의 몸통을 이룬다. 작가가 숫자마다 꾹꾹 담은 이야기는 뜻밖에도 우리나라에 보험제도가 도입된 날짜로부터 시작한다. 보험이 위험을 객관화한 ‘불확실성’의 상징이란 것을 생각하면 쉬이 수긍이 간다. 깎아지른 듯한 벽 사이에는 검은 비닐을 뒤집어쓴 강아지 장난감이 빨빨거리며 돌아다닌다. 그사이에는 낚싯줄에 꿴 떡밥으로 만든 금괴가 자리하는데 “uncertainty 불확실성“이란 단어가 새겨져 있다. 관람객은 이 모든 광경을 벽 너머로 관망하게 되는데, 이 또한 편치 않다. 위태로운 현실 앞에 눈을 감아버리는 이에게 경종을 울리듯 새가 벽에 부딪치는 소리가 전시장에 울린다.
<EUNSOOK KIM : Gyeonggi Artist Highlights>
Eunsol Cho (Curator of Gyeonggi Museum of Modern Art)
EUNSOOK KIM has garnered the attention of the contemporary art scene for her work, asking questions about the meaning of ‘communication’ in our society. For her, who studied art as a foreigner in a foreign country and began her career as an artist, communication was a task that she faced at every moment. In her early works, the artist overturned or emphasized the meaning of the symbolic system that can be encountered on a daily basis, revealing contradictions inherent in capitalism. The artist makes everything from the most basic symbolic system, language, to images familiar to modern people, such as advertisements and administrative forms, seem unfamiliar. A series of works from this period can be seen as the artist’s way of communicating with viewers about the contradictory aspects of our society.
Since 2014, the artist has begun to focus on the theme of ‘uncertainty.’ That year was a difficult year not only for the artist but also for everyone in Korea. The artist presented <feigned innocence rather than negative, idle remarks rather than positive> (2014), which symbolized the signs of disaster and danger lurking in modern society with metaphorical symbols, and this work became a turning point for the artist. The reason why the author expanded her world of works by focusing on ‘signals’ is probably to reflect on the ultimate meaning of communication in an era dominated by uncertainty. This is because signals are a symbol system that presupposes two-way agreement and communication.
Recently, EUNSOOK KIM has been deepening her work by adopting the ‘The international maritime signal flags’ that communicates between ships using flags. The International maritime signal flags are composed of 26 letters corresponding to the alphabet, and each flag serves to imply and convey situations that may occur at sea. The artist is continuing the work of recreating epigrams or aphorisms into images using the International maritime signal flags as a writing system. She has created her own signals based on her aesthetic concerns. Looking at the aphorisms she has adopted, some go back to Jenny Holzer’s (1950~) symbolic text work and some even go as far as a verse from the Bible. These aphorisms may seem obvious, but they are things that we, living in an era of uncertainty, have ruined or ignored. The artist transforms these still valid propositions into colorful images to signal to us. As the audience responds to the artist’s signals scattered throughout, the exhibition hall will expand into a space for communication.
<feigned innocence rather than negative, idle remarks rather than positive>, <Bird Strike II>
The rapid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has brought about unprecedented uncertainty all over the world. This danger of modern society has not yet continued, but it is like an impending catastrophe. The artist’s first work, <Not Negative, but Silly, Not Positive, but Naughty>, which was first presented in 2014, unfortunately was not the end. It is currently in progress. At that time, the years and dates of major accidents in our country, which were engraved on the billboards surrounding the exhibition hall, have grown to their full size and form the body of a black eagle beyond them. The story that the artist has packed into each number unexpectedly begins with the date when the insurance system was introduced in our country. It is easy to understand when you consider that insurance is a symbol of ‘uncertainty’ that objectifies risk. Between the steep walls, a toy dog covered in black plastic scurries around, blushing. Between them, a gold bar made of bait on a fishing line is placed, with the word “uncertainty” engraved on it. The audience is forced to watch all this through the wall, but this is also uncomfortable. The sound of birds hitting the wall echoes throughout the exhibition hall, as if to sound a warning bell to those who close their eyes to the dangerous reality.